바이브 코딩과 함께하는 깃헙 페이지 업데이트 ✨

gatsbyreactblogCursor

이제 귀찮은 작업은 AI에게 맡기세요.

“더 이상 블로그를 방치하지 말자.”
그렇게 시작된 나의 깃헙 페이지 개편 프로젝트.


😅 변경 전 상황: 이력서 박제 블로그

기존 블로그는 사실상 이력서 호스팅용에 가까웠습니다.

  • GatsbyJS 기반으로 만들고는 있었음
  • SCSS + Bootstrap 조합으로 구성
  • 가끔 Gatsby 메이저 버전 나오면 업그레이드만…
  • "포스트 작성 기능?" → 귀찮아서 끔 😴
  • Bootstrap 특유의 느낌도 점점 촌스럽게 느껴짐

목적은 개발 공유 & 커리어 관리였는데, 현실은 방치된 온라인 이력서였던 셈.


🛠️ 새롭게 하고 싶었던 것들

  1. Tailwind 기반의 더 모던한 디자인
  2. Markdown 기반의 편한 블로깅
  3. AI 도우미와 함께하는 생산성 향상
  4. 최소한의 내 노력, 최대한의 자동화

🤖 AI와 함께하는 ‘바이브 코딩’

프로젝트는 단순히 기술 리뉴얼이 아니라, 새로운 방식의 개발 실험이었습니다.

📁 .cursor/rules/
├── project-structure.mdc
└── style-guide.mdc

위 두 파일을 만들고 CursorChatGPT에게 프로젝트의 기준점을 제시한 후, 개발을 지시했어요.

🎯 내가 직접 한 일은?

  • 전체 구조와 스타일 가이드 정의
  • 반복 실수 방지용 피드백 제공
  • 각 기능의 우선순위와 분할 작업 지시
  • 최종 결과물만 리뷰하고 커밋

🧠 예시: Tailwind v4 헷갈림 해결

처음에는 Tailwind 스타일을 적용하라고 했지만, Cursor가 자꾸 v3 방식대로 가이드를 주더군요.

# 실제로 v4에서는 아래와 같이 init 해야 하는데…
npx tailwindcss init --ts

그래서 스타일 가이드(style-guide.mdc)에 Tailwind v4 기준을 명확하게 정리하고, 다음처럼 명시했습니다:

“Tailwind는 v4 기준으로 작성하며, 설정 구조 및 커스텀 변수 적용 방식은 v3와 다름. @theme 구문 및 새 config 작성법을 숙지할 것.”


📄 구조화된 프로젝트 예시

project-structure.mdc에는 블로그의 전체 구성과 각 디렉토리 역할이 정의되어 있습니다.

디렉토리 설명
src/pages 실제 라우팅 되는 페이지들
src/components UI 컴포넌트 단위
src/app 공통 전역 기능 (Layout, Theme 등)

덕분에 Cursor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리팩토링할 때 정확히 어느 폴더에 어떤 파일을 넣어야 하는지 실수 없이 따라올 수 있었어요.


💡 바이브 코딩 팁: 업무 분리 전략

Cursor를 쓸수록 느낀 점 하나: 일은 쪼개줘야 잘한다.

기능을 한 번에 요구하면 이상한 방식으로 뭉탱이 코드를 내놓는데, 단계별로 나누면 훨씬 정확하고 유연하게 작업함.

예를 들어 "아티클 기능 추가"는 다음과 같이 분리:

  1. 아티클 모델 정의 및 파일 생성
  2. 기본 렌더링 구조 구성
  3. 스타일 가이드 반영
  4. 기존 라우팅과 통합

이렇게 나눠서 커밋 단위도 명확하게 나뉘고, PR 관리도 쉬워졌습니다.


🎨 새롭게 바뀐 블로그 모습

(이미 변경된 디자인으로 보고 계실 테니 스샷은 생략)

  • 간결하고 세련된 타이포그래피
  • Mobile-first 레이아웃
  • 커스텀 글 머리표와 CTA 디자인

📌 앞으로의 계획

  • Cursor 기반 개발 방식 정리해서 템플릿으로 공유 예정
  • Tailwind v4 팁 모음 및 스타일 가이드 공개
  • 바이브 코딩 시리즈 연재 예정

🧑‍💻 마치며

이제는 귀찮은 작업도 AI에게 맡기고,
우리는 좀 더 창의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.

개발, 운영, 문서화까지 자동화의 시대.
“바이브 코딩”으로 일상 속 개발을 바꿔보세요!


🔗 참고 리소스